흔한 마케터의 전투적 일상✨

오늘하루, 휘발방지🔥

어린이 3

21. 02. 16 - <어린이라는 세계> 김소영

책, 김소영 에세이 p.79 어린이는 2학년 때 2학년만큼 자라고, 5학년 때 5학년만큼 자라지 않는다. ..그런데도 어린이의 학년만 중시하는 바람에 어린이가 발달시켜야 할 여러 덕목들 중에서 공부에 대한 것만 강조되는 것은 아닐까 나는 의심하고 있다. . 그래도 나는 되도록 학년 대신 나이로 생각하고 싶다. 그러면 어린이의 성장을 조금 더 넓은 의미에서 생각하게 되는 것 같다. '몇 학년' 대신 어린이 자신을 기준으로 이전보다 나아갔는지 뒷걸음쳤는지 살피려고, 성취나 완수보다 과정을 한 번 더 격려하려고, 양이나 점수로 드러나지 않는 성장이 있다는 것을 잊지 않으려고 나 자신이 다짐하게 된다. p.90 어린이의 개성은 그보다 복잡하게 만들어진다. 어린이는 부모로부터 받은 것과 스스로 구한 것, 타고난 ..

문장기록 2021.02.16

20. 01. 25 - <어린이라는 세계> 김소영

책, 김소영 에세이 p.67 일본으로 여행을 갔을 때는 보이는 족족 간판을 소리 내어 읽었다. 한자와 가타카나로 쓰인 간판이 많아서 다 읽을 수는 없었지만, 그야말로 '새로운 세계'를 만난 듯했다. 글자를 안다는 것은 정말 대단한 일이다. .. 그런데 사르트르 어린이도 글자를 익혔다고 해서 바로 읽기의 세계로 돌입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기호를 읽는 것과 의미를 아는 것은 다른 문제이기 때문이다. .. p70 어린이가 읽고 쓰게 되면 더는 어른 무릎으로 올라오려 하지 않는다. 더군다나 속으로 읽기 시작하면 성큼 자기 세계로 들어가 버려 어른과 어느 만큼 거리마저 생기는 것도 같다. 김소영 님의 글에는 한글자 한글자 인사이트가 담겨있다. 매 순간 아이를 열심히 (그러나 조심스럽게) 들여다보고, 내 생각과 다..

문장기록 2021.01.26

20. 01. 17 - <어린이라는 세계> 김소영

책, 김소영 에세이 p.5 무엇이 되었든 나 자신을 위한 글을 쓰겠다고 생각했다. 나의 세계를 정비하려던 것이었다. .. 어린이는 누군가의 자녀이고 학생이지만 각자가 우리 세계의 어엿한 구성원이기도 하다는 걸 잘 알면서. 어린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사회라면 더 많은 사람들이 어린이 이야기를 해야 한다는 걸 알면서. .. 어린 시절의 한 부분을 나누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분을 아는 것이 저의 큰 영광입니다. '들어가며'에 담겨있던 내용인데, 글쓴이의 깊은 어른다움이 느껴지는 내용이라 가져왔다. 책을 좀 더 읽지 않아도 이런 생각을 공유받은 것 자체가 굉장히 행운처럼 느껴졌다. p.18 버스를 타고 내릴 때, 문을 열고 닫을 때, 붐비는 길을 걸을 때나 에스컬레이터 앞에서 머뭇거릴 때 어린이에게 빨리하..

문장기록 2021.01.17